- 그래픽 UI 환경으로 설치할 것이므로 Enter를 눌러 설치를 진행한다.
- CD 테스트는 하지 않을 것이므로 Skip을 선택한다.
- Next를 클릭한다.
- 언어는 English(English)을 선택한다.
- 키보드 설정은 U.S. English를 선택한 후 Next를 클릭한다.
- 파티션은 수동으로 설정 할 것이므로 Manually partition with Disk Druid를 선택한 후 Next를 클릭한다.
- New를 클릭하여 자신의 서버 운영 환경에 맞도록 파티션을 설정해 준다.
/boot : 100 MB
/ : 3000 MB
swap : 2048 MB (메모리 크기의 2배)
/home : 나머지 모든 용량
/var : 3000 MB
/usr : 2000 MB
/ : 3000 MB
swap : 2048 MB (메모리 크기의 2배)
/home : 나머지 모든 용량
/var : 3000 MB
/usr : 2000 MB
위 환경은 일반적인 서버 환경의 파티션 설정이므로 꼭 동일하게 설정해 줄 필요는 없다. 오라클만 설치하여 테스트 할 목적이면 /var, /usr 파티션을 굳이 나눌 필요는 없고 오라클이 DB가 설치될 파티션의 용량을 크게 주는 것이 좋다. 일반적인 오라클 DB 설치경로는 /u01 하위에 이므로 파티셔닝을 아래와 같이 해 주어도 된다.
/boot : 100 MB
/ : 5000 MB
swap : 2048 MB (메모리 크기의 2배)
/u01 : 나머지 모든 용량
/ : 5000 MB
swap : 2048 MB (메모리 크기의 2배)
/u01 : 나머지 모든 용량
- Boot loader는 GRUB 모드를 사용할 것으므로 변경없이 Next를 클릭한다.
- Edit를 클릭하여 Configure using DHCP 체크박스는 해제하고 Activate on boot를 체크한 후 자신의 네트워크 환경에 맞도록 IP를 설정해 준다.
- Hostname은 manually를 클릭한 후 원하는 hostname을 입력해 주고 네트워크 환경에 맞도록 Gateway를 입력해 준다. Primary DNS는 위와 같이 입력해 준다.
- 위 화면에서는 Enable firewall로 체크되어 있지만 오라클 설치시 번거롭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No firewall을 선택 한 후 Next를 클릭한다.
- 추가 언어에서는 Korean (Republic of Korea)를 추가선택한 후 select the default language for the system에서 Korean (Republic of korea)를 선택해 준다.
- Time Zone은 Asia/Seoul을 선택한 후 Next를 클릭한다.
- 사용할 Root 패스워드를 입력한 후 Next를 클릭한다.
- Package는 수동으로 설정할 것이므로 Customize software packages to bo installed를 선택한 후 Next를 클릭한다.
- 서버 운영시 필요한 패키지를 선택해 준다.
- Desktop
- X Window System
- GNOME Desktop Environment
- Applications
- Editors
- Graphical Internet
- Servers
- FTP Server
- Legacy Network Server (Details를 클릭하여 rsh-server, telnet-server 선택)
- Development
- Development Tools (Details를 클릭하여 gcc 관련 패키지 모두 선택)
- X Software Development
- GNOME Software Development
- Legacy Software Development
- System
- Administration Tools
- Next를 클릭하면 설치가 시작된다.
설치중 Change CDROM 팝업창이 뜨면 2 ~ 4 번째 설치 이미지를 교체해준 후 OK를 클릭한다.
- 이미지 파일 교체는 vmware 하단의 CD 이미지 위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한 후 Connect를 선택한다.
- Connect를 클릭하여 위와 같이 CD 이미지가 진하게 활성화 되었을 때 CD 이미지를 더블 클릭하여 다음 CD의 ISO 파일을 선택해 준다.
설치가 완료되면 Reboot을 클릭하여 재부팅 해준다.
- 다음을 클릭한다.
- '네, 사용 계약서에 동의합니다.'를 클릭한 후 다음을 클릭한다.
- 날짜와 시간이 맞는지 확인 한 후 다음을 클릭한다.
- 다음을 클릭한다.
- 현재는 유저를 생성하지 않고 추후 수동으로 유저를 생성할 것이므로 다음으로 진행한다.
- 다음을 클릭한다.
- 추가로 설치한 CD는 없기 때문에 다음을 클릭한다.
- 다음을 클릭하면 완료 후 자동으로 재부팅이 진행된다.
이제 Red Hat Enterprise Linux 4의 설치와 설정이 완료되었다.
'리눅스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VMware] Linux OS에서 VMware-Tools 설치 (0) | 2010.08.22 |
---|---|
[VMware] NAT 설정시 네트워크 속성 변경 (0) | 2010.08.22 |
Red Hat Enterprise Linux 4 설치 (1. vmware 설정 - Bridged Network) (0) | 2010.08.22 |
리눅스 서버 구축 (웹, 메일) (0) | 2010.07.19 |
Oracle Enterprise Liunx 5.5 설치 (2. OS 설치) (0) | 2010.06.29 |